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모바일메뉴
소개

인체유래물 클러스터

인체유래물
국립중앙인체자원은행

대한민국 보건의료R&D의 든든한 파트너로서 바이오헬스산업 혁신의 중심에
국립중앙인체자원은행이 함께 하겠습니다.

국립중앙인체자원은행(이하 ‘중앙은행’)은 질병관리청 국립보건연구원에 개설된 국가 인체자원은행으로 한국인유전체역학조사사업(KoGES), 국민건강영양조사사업 등 기관 고유 사업과 다양한 국가연구개발사업에서 수집된 대규모 인체자원(인체유래물 + 임상·역학정보 + 유전정보 등)을 표준화된 방법으로 제작, 관리하여 연구자에게 분양하는 인체유래물 은행 고유의 역할 뿐만 아니라, ’08년부터 한국인체자원은행사업(Korea Biobank Project, KBP)의 총괄·지원을 통해 연구용 인체자원의 국가적 관리·활용체계를 구축·운영하고 있습니다. 중앙은행은 인체자원의 안정적인 장기 보존 및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 다양한 시설과 시스템을 구축·운영하고 있으며, 국제 표준에 부합하는 인체자원은행 운영을 위하여 2005년 ISO 9001 품질경영시스템 인증을 획득한 바 있으며, 2022년 생물자원은행 운영에 관한 ISO 20387 국제표준 인정을 추진하여 한국인정기구(KOLAS)로부터 “국내 제1호 공인생물자원은행”으로 인정받았습니다.

국립중앙인체자원은행
시설 기계식냉동고, 액체질소냉동고, 전자동자원관리플랫폼, 산소농도측정기, 비상발전기, 무정전전원장치 등
시스템 인체자원정보관리시스템(HuBIS_Sam), 인체자원분양데스크(HuBIS_Desk), 원격지기탁지원시스템(HuBIS_Tracker) 등

또한 중앙은행은 민간 인체자원은행과 함께 한국인체자원은행네트워크(Korea Biobank Network, KBN)를 구축하고, 국내 인체자원은행 운영 표준화를 통해 국가 보건의료 R&D의 경쟁력 향상의 밑거름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생명윤리 및 안전이 확보된 표준화된 인체자원의 수집·제공을 통해 117만 명분의 인체자원을 수집하고, 5,041개 국내 보건의료R&D 연구과제에 분양하여, 1,876편의 논문과 177건의 특허 창출에 기여하였습니다. (2023. 12월 기준)

중앙은행은 인체자원은행 표준운영지침 개발, 인체자원정보관리시스템(HuBIS_Sam, 현재 버전 v4.0)을 자체개발하여 민간에 무상 보급하고(2023년 기준 69개 인체유래물은행) 헬프데스크를 통하여 시스템오류조치 등 기술지원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또한, KBN 임상역학정보 공통데이터 모델(KBN CDM, 현재 버전 v3.0) 개발 및 KBN 인체자원 빅데이터 플랫폼(KBN BRIDGE) 개발, 인체자원 정도관리 숙련도시험 운영(2023년 기준 65개 기관 참여), 인체자원은행 실무자 온라인 교육프로그램 운영(https://kdca.nhi.go.kr) 등을 통해 국내 인체자원은행의 운영 및 인체자원 수집·관리 표준화를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고 있으며, 분양상담 콜센터(ARS 1661-9070), KBN 분양지원센터 운영, 중앙은행 분양위원회 운영, 원스톱 온라인 분양포탈인 인체자원분양데스크(https://biobank.nih.go.kr/Desk) 및 KBN Portal(www.kbn.re.kr) 운영, 수요자 맞춤형 인체자원 수집·분양(주문형 뱅킹) 등 연구자들이 쉽고 편리하게 인체자원을 활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분양서비스를 개발·운영 하고 있습니다.

  • 인체자원 수집
  • 117

    만 명분
  • 인체자원 분양
  • 5,041

  • 인체자원 활용논문
  • 1,876

  • 인체자원 특허 등록 및 출원
  • 177

국립중앙인체자원은행로고
국립중앙인체자원은행
서비스 유형 세부 서비스 유형 서비스 내용 신청 절차 단가(원) 담당자
인체자원 확보 국립중앙인체자원은행 한국인유전체역학조사사업(KoGES), 국민건강영양조사사업(KNHANES), 만성질환코호트(치매, 심혈관질환 등) 등 기관 고유사업으로부터 표준화된 절차와 방법으로 확보된 인구집단 기반 인체자원을 보관·관리
KBN 인체자원은행 전국 30개 인체유래물은행 및 협력기관이 참여하는 KBN 인체자원은행에서는 국내 연구자들이 활용할 수 있도록 표준화된 절차와 방법을 통해 병원 내원환자 및 검진자로부터 질병기반 인체자원(혈액, 조직, 관련 정보 등)을 보관·관리
인체자원 기탁 일반기탁 국가연구개발사업을 통해 수집ㆍ생산된 인체유래 연구자원 및 잔여검체에 대한 관리ㆍ분양에 관한 책임과 권한을 위임받아 국립중앙인체자원은행을 통해 연구자들이 이용하여 연구자원의 활용을 확대 기탁신청 ▶ 기탁검토 ▶ 기탁협약 ▶ 자원운송 ▶ 자원검수 ▶ 기탁완료 및 분양(중앙은행 홈페이지 참고) 해당 없음 043-719-6560
인체자원 품질관리 인체자원 정도관리 숙련도시험 국내 인체유래물은행의 인체자원 품질관리 수행도 모니터링을 위하여 정도 관리 6개 항목에 대하여 매년 인체자원 품질관리 숙련도시험 운영 향후 숙련도시험 운영기관에 관한 요구사항 충족을 위하여 ISO 17043 국제표준 인정을 추진 중 숙련도시험 참가지침 안내 ▶ 참가기관 공문 접수 ▶ 숙련도 아이템 배포 ▶ 아이템 인수증 회신(참가기관) ▶ 시험 실시 및 시험결과 제출(신청기관) ▶ 결과배포 해당 없음 043-719-6537
정보관리시스템 인체자원정보관리 시스템 (HuBIS_Sam) 인체자원의 수집, 정도관리, 보관 및 분양 등 인체자원 정보를 효율적이고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바이오뱅크 정보관리시스템(HuBIS_Sam V4.0)을 자체 개발하여 민간에 무상 보급 개별 문의 해당 없음 043-719-6510
인체자원분양 국립중앙인체자원 은행 한국인유전체역학조사사업(KoGES), 국민건강영양조사사업 등 질병관리청 국립보건연구원에서 수행하고 있는 사업을 통해 수집된 인구집단 기반 인체자원을 연구자에게 분양 분양데스크(https://biobank.nih.go.kr/Desk) 접속 ▶ 분양자원 검색 ▶ 분양신청 서류작성 ▶ 분양신청 서류접수 ▶ 분양심의 ▶ 분양준비 ▶ 자원분양 ▶ 분양자원 활용 ▶ 활용성과 제출 *http://biobank.nih.go.kr *카카오채널 “질병관리청 국립중앙인체자원은행” *정보자원 : 수수료 없음
*DNA : 2천원/1vial
*DNA : 5천원/1vial
043-719-6517
(1661-9070)
emailkiara_01@korea.kr
KBN 인체자원은행 행 KBN 인체자원은행의 질병기반 인체자원(인체유래물 및 임상역학정보, 유전 정보 등) 및 수요자 맞춤형 인체자원 수집·분양 지원 KBN Portal(www.kbn.re.kr) 접속 ▶ 분양가능 인체자원 검색 ▶ 분양상담(누리집, 전화, 이메일, 카카오채널) ▶ 분양은행 지정 ▶ 분양신청 ▶ 분양심의 ▶ 인체자원 분양 개별 문의 KBN 분양지원센터 031-546-2715 (1661-9070)kbnysvc@gmail.com카카오채널 : KBN Porta
교육훈련 교육 프로그램 운영 국내 인체자원은행의 인체자원 관리의 표준화 및 실무자들의 전문성을 높이기 위해 다양한 온·오프라인 교육프로그램 운영 (온라인 교육과정의 경우 15차시로 구성) 질병관리청 나라배움터(https://kdca.nhi.go.kr) ▶ “인체자원 관리자 실무교육 과정” 교육신청 ▶ 교육 이수 ▶ 완료

페이지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