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모바일메뉴
소개

야생생물 클러스터

탭메뉴(클릭 시, 해당내용으로 스크롤 이동됩니다.)

야생생물
국립생물자원관 국가야생생물소재은행

자생생물자원의 보전과 지속가능한 활용 확대를 위해 정확한 종동정을 기반으로 한 다양한 야생생물소재(유전자원, 천연물, 미생물배양체, 종자)를 확보·관리하며 산·학·연 수요자에게 무상으로 분양하고 있습니다.

국립생물자원관 국가야생생물소재은행은 생물다양성을 보전하고 지속가능한 이용을 지원하고자 설립되었습니다. 우리나라 산, 들, 강에 자생하는 생물을 대상으로 다양한 생물소재를 확보하여 안정적으로 보존하고, 산학연에 무상분양으로 생물주권 강화와 바이오 산업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아울러 생활환경, 토양환경 개선 등 환경현안 대응을 위한 야생생물 탐색과 보급 등 바이오산업 원천소재를 발굴하고 ‘찾아가는 야생생물소재 전문컨설팅’으로 용도별 최적 생물소재를 지원합니다.

국가야생생물소재은행에서는 유전자원, 배양체, 천연물, 종자 등 다양한 형태의 야생생물 소재를 확보하여 형태 분석과 유전자분석으로 정확한 종동정과 소재별 맞춤 품질점검을 실시하고, 최적 조건으로 보존하고 있습니다. 유전자원은 자생생물의 종 확인, 유전형 확인을 위한 참조시료로, 동물·식물·미생물 등 전 분류군의 조직과 DNA, 동물세포 20,000여 종 211,000여 점을 보존ㆍ관리하며 고품질의 시료를 분양하여 관련 연구를 지원합니다. 자생 미생물자원의 보존과 활용을 위해서는 원핵생물, 균류, 조류(藻類) 배양체 24,800여 주를 확보하고, 분류군별 특성에 맞는 보존 방법으로 관리하고 있습니다. 분양시 균주별 최적 배양조건 등의 정보를 함께 제공하여 연구 및 산업 소재로 활용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자생생물의 활용 촉진을 위해 야생생물 추출물 6,300여 점을 확보ㆍ관리하고 천연물 연구를 수행하는 국내 연구자 및 산업계를 대상으로 무상 분양하고 있습니다. 확증표본과 유전자 분석으로 정확한 종동정이 된 자생식물 추출물의 추출방법 등 정보 제공으로 신뢰도 높은 천연물을 제공합니다. 자생 식물자원의 보존과 활용을 위해서는 야생식물 종자나 포자 24,900여 점을 확보, 분류군별 특성에 따라 보존하고 있습니다. X-ray를 이용한 비파괴적 종자 충실도 검사나 활력 검사 등을 통해 품질을 관리하고, 발아조건ㆍ증식조건 등 종별 특성정보를 함께 제공하여 활용 촉진을 지원합니다. 또한, 수요자 맞춤형 종자 확보, 발아 특성·조건 연구와 주요 소재의 대량증식 기술 개발 등으로, 야생식물의 소재화 및 대중화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국가야생생물소재은행에서는 용도별 최적 소재와 대상종의 분류·생태정보, 유용성·특허 정보, 증식 조건 등 종합정보를 제공하는 ‘야생생물소재 전문컨설팅’을 제공하여 의약품, 식품, 화장품 등 각 분야 바이오산업의 신소재로 활용 촉진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 한반도 자생 야생생물소재 확보
  • 267,501

    점(누계)
  • 산학연 수요자 분양
  • 20,762

    점(누계)
국립생물자원관 로고
국립생물자원관 국가야생생물소재은행
서비스 유형 세부 서비스 유형 서비스 내용 신청 절차 단가(원) 담당자
소재 기증·기탁 유전자원,배양체 기증·기탁 보존 및 활용이 필요한 생물소재를 기증·기탁 받아 품질관리하여 보존하고 다른 연구자들에게 공여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 담당자 협의 ▶ 신청서 발송 ▶ 기탁 수락 여부 결정 ▶ 인계·인수서 작성 ▶ 표본 및 소재 발송 ▶ 소재번호 부여 ▶ 보존 무료 김순옥
032-590-7500
nibrbiobank@korea.kr
소재 분양 서비스 야생생물유전자원 확증표본 및 DNA 정보가 검증된 유전자원 제공 국립생물자원관 ‘한반도의 생물다양성’ 누리집 회원가입 ▶ 보유 생물 소재 검색 ▶ 분양받고자 하는 생물 소재 담당자 문의(e-mail 또는 전화) ▶ 분양신청서 작성 및 온라인 분양신청 ▶ 공문 또는 우편으로 담당 부서 발송 무료 박혜윤
032-590-7500
nibrbiobank@korea.kr
미생물배양체 미생물(원핵, 균류, 미세조류)의 배양체 분양
야생생물천연물 확증 표본 검토 후 천연물 추출물 분양 김원희
032-590-7500
nibrbiobank@korea.kr
야생식물종자 자생식물 종자 분양
확증 표본 이미지와 종자 활력 검사 결과 제공
야생생물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담수생물자원은행
fbp.nnibr.re.kr/fbcc 연결되는 큐알코드

홈페이지

fbp.nnibr.re.kr/fbcc

담수 야생생물 소재의 확보, 보존, 가치 발굴, 분양서비스 제공으로 유용 생물자원의 지속가능한 이용에 기여하겠습니다.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담수생물자원은행(Freshwater Bioresources Culture Collection)은 국내 유일의 담수 야생생물 소재은행으로, 2016년 고부가가치 잠재력을 지닌 담수 야생생물 소재의 지속가능한 이용에 기여하기 위해 설립되었습니다.

담수 야생생물 소재는 생활사 중 전부 혹은 일부 기간에 담수 서식지를 이용하거나 담수 생물에 기생하는 종(동물, 식물, 균류·지의류, 원생생물, 원핵생물)을 포함하여 이들로부터 얻어지는 천연물(추출물, 2차 대사산물 등), 유전자원(조직, DNA 등)을 말합니다. 담수생물자원은행은 첨단시설을 갖춘 유전자원 수장고, 동결건조 앰플 수장고, 생물소재 배양실, 담수 미세조류 배양 보존실, 추출 농축실, 분리 정제실 등을 운영하여 고품질 소재의 안정적인 보존 및 분양 업무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24,200개 이상의 소재(미세조류, 세균, 진균, 천연추출물)를 보존·관리하고 있으며, 지난 7년 동안 산·학·연 연구자에게 약 23,300개의 소재를 제공하였습니다. 제3차 국가생명연구자원 관리·활용 기본계획에 따른 야생생물 소재 클러스터 육성 사업을 통하여 소재의 품질관리 체계를 국제적 수준으로 고도화하고, 보유 소재로부터 수요자가 원하는 주요 활용정보를 확보·관리하기 위해 “담수생물소재선진화연구단”을 구성하였습니다, 2026년까지 품질경영시스템(ISO 9001) 및 생물자원은행(ISO 20387) 인증으로 국제적 수준의 품질관리 체계를 구축하고, 소재 특성에 따른 기초유용성 정보(항염, 항당뇨, 항산화, 항균 등) 67,000건 및 오믹스 정보(유전체, 대사체 등) 1,000건의 연구데이터를 생산하여, 수요자가 원하고 신뢰하는 담수 야생생물 소재를 제공함으로써 국가 바이오산업 활성화에 기여하는 세계적 수준의 소재은행이 되고자 합니다.

담수생물자원은행은 국내 바이오 연구·산업현장에 최고 품질의 담수 야생생물 소재의 공급 및 연구데이터 활용 강화 실현에 앞장서겠습니다.

  • 담수 야생생물 소재
  • 보유현황
  • 24,200

    여 개
  • 담수 야생생물 소재 유래
  • 바이오 연구 데이터
  • 30,700

    여 개
국립중앙인체자원은행로고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담수생물자원은행
서비스 유형 세부 서비스 유형 서비스 내용 신청 절차 단가(원) 담당자
소재 기탁 일반 기탁 분류학, 유전학, 생화학, 의학 등에 관련된 연구, 산업, 교육에 유용한 배양체 (미세조류, 세균, 진균)를 기탁하여 다른 연구자들이 기탁된 소재를 공유하여 연구할 수 있도록 하는 기탁 서비스 신청서 작성(웹사이트) ▶ 접수 ▶ 검토(기탁가능 여부심사) ▶ 실물소재접수 ▶ 소재확인(생존시험 및 품질검사) ▶ 기탁번호부여 ▶ 보존 ▶ 기탁증 발행 무료 김혜강
054-530-0886
hkim458@nnibr.re.kr
소재 분양 배양체, 추출물 분양 생물소재를 취급할 수 있는 곳에 소속되어 있고 시험, 연구 및 교육을 목적으로 하는 소재의 분양 서비스(미세조류, 세균, 진균, 천연추출물) 신청서 작성(웹사이트) ▶ 접수 ▶ 검토 ▶ 분양 준비(분양소재, 상세정보 등) ▶ 발송(택배) ▶ 활용 보고서 피드백 무료 김혜강
054-530-0886
hkim458@nnibr.re.kr
소재 배양·보존 교육 서비스 교육 담수 야생생물 소재 배양기술 및 보존방법 워크숍 개최 (미세조류, 세균, 진균의 동정·분류· 배양·보존방법 교육) 일정공고(웹사이트, 담당자에게별도 연락 필요) ▶ 접수 ▶ 워크샵 실시 (‘24년 6월, 7월, 8월 개최 예정) 무료 조복연
054-530-0884
byjo@nnibr.re.kr
기술 지원 필요기술 지원 바이오 관련 산업체의 필요기술을 해결하기 위해 맞춤형 기술을 지원하는 서비스(기술개발, 시험분석, 기술이전 등) 신청서 작성(웹사이트, 담당자에게 별도 연락 필요) ▶ 접수 ▶ 검토(전문가 면담) ▶ 필요기술 지원 무료 김민진
054-530-0892
alswls0428@nnibr.re.kr
연구시설 및 장비 지원 연구자가 직접 연구시설 및 장비를 활용하여 연구를 수행할 수 있게끔 지원하는 서비스(현미경, 화합물 분석, 데이터 처리, 환경조성·사육시설 등) 신청서 작성(웹사이트) ▶ 접수 ▶ 검토 ▶ 시설 및 장비 활용 ▶ 활용 보고서 피드백 무료 권예슬
054-530-0792
ashleekn86@nnibr.re.kr
야생생물
국립호남권생물자원관 섬생물소재은행
ibis.hnibr.re.kr/bobic 연결되는 큐알코드

홈페이지

ibis.hnibr.re.kr/bobic

우리나라의 섬과 연안 지역에서 발굴된 생물소재를 효율적으로 보존·관리하고 필요한 곳에 분양하여 생명과학 연구 및 바이오산업의 발전에 기여하고자 합니다.

우리나라에는 약 3,400여 개의 섬들이 있으며, 해양과 육지가 교차하는 자연적 특성과 연안, 습지 등의 특수한 고유환경을 유지하여 국가 생물소재 개발의 무궁한 잠재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국립호남권생물자원관 섬생물소재은행(Bank of Bioresources from Island and Coast)은 2021년 11월 개소한 국내 유일의 섬·연안 야생생물소재 전문 기관으로서 천연물(원시료, 추출물), 유전자원(gDNA, 조직), 배양체(세균·균류·미세조류)에 대한 생물소재의 보존·관리·분양 업무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섬생물소재은행은 2023년 표준운영매뉴얼을 제작 통해 야생생물소재 관리의 체계적인 운영·관리, 기탁, 보존 및 분양에 대한 단계별 업무 절차를 안내하고 있으며, 국제 표준인증 품질경영시스템(ISO9001) 인증 획득·유지를 통해 야생생물소재 품질관리 시스템 고도화 및 소재 품질의 신뢰도를 높여 분양 활성화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또한, 국가생명 연구자원 빅데이터 구축 전략의 일환으로 다부처 국가생명연구자원 선진화사업을 위한 “섬 야생생물 소재 선진화 연구단”을 2023년 공식으로 출범했습니다. 오는 2026년까지 섬·연안 특화 야생생물 소재(2,914점 이상) 및 오믹스 빅데이터(3만 6,000건 이상), 유용성 정보(4만 9,462건 이상)를 확보하고, 소재의 활용성을 높이기 위해 소재은행의 인프라 고도화를 통한 산·학·연 수요자에게 고품질의 맞춤형 소재를 제공할 예정입니다. 이를 통해 국가 바이오 분양의 성장 가속화에 기여하는 국제적인 수준의 소재 은행으로 발돋움할 것입니다.

섬생물소재은행은 섬·연안 야생생물의 지속가능한 활용 확대를 위해 효율적이고 표준화된 시스템을 기반으로 야생생물소재 및 유용정보를 체계적으로 관리·보존하여, 산·학·연에 분양함으로써 국가의 자원이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도록 구심점 역할을 하겠습니다.

  • 섬야생생물 소재
  • 6,888

    여 점
  • 국제표준인증
  • ISO 9001

    획득·유지
국립호남권생물자원관
국립호남권생물자원관 섬생물소재은행
서비스 유형 세부 서비스 유형 서비스 내용 신청 절차 단가(원) 담당자
섬생물소재 기증·기탁 천연물 기증·기탁 입고 기준에 따라 추출물(30% 에탄올, 70% 에탄올, 열수)을 기증·기탁받아 표준화하여 보존 및 관리 섬생물소재은행 사이트 접속 ▶ 사전 협의 및 접수 ▶ 심사 ▶ 입고 검사 ▶ 기탁 승인 ▶ 보존 ▶ 기탁증 발행 무료 남보미
061-288-8981
bomi1201@hnibr.re.kr
유전자원 기증·기탁 입고 기준에 따라 gDNA, 조직의 유전자원을 기증·기탁받아 표준화하여 보존 및 관리
배양체 기증·기탁 입고 기준에 따라 세균, 균류, 미세조류 배양체를 기증·기탁받고 표준화하여 보존 및 관리
섬생물소재 분양 천연물 분양 원시료, 추출물(30% 에탄올, 70% 에탄올, 열수)의 유용성을 탐색하여 산·학·연 연구자들에게 분양 섬생물소재은행 사이트 접속 ▶ 분양가능 소재 검색 ▶ 분양 신청 ▶ 내부 검토 ▶ 분양 승인 ▶ 발송 및 분양완료 ▶ 분양 만족도 조사 무료 남보미
061-288-8981
bomi1201@hnibr.re.kr
유전자원 분양 gDNA, 조직, 유전정보를 산·학·연 연구자 대상 제공 및 분양
배양체 분양 세균, 균류, 미세조류 배양체를 산·학·연 연구자 대상으로 분양

페이지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