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축의 유전적 다양성 확보와 유전자원의 안전한 보존·관리 연구를 통하여 지속가능한 축산업 발전을 이룩하는 선도 연구기관입니다.
국립축산과학원 가축유전자원센터는 1971년 국립종축장 운봉지장으로 설립되어 현재 국내 가축 유전자원의 관리와 멸실 위험이 있는 희소품종을 안전하게 보존·관리하는 연구업무를 수행하여 오고 있습니다. 2007년부터 국가 가축생명자원 책임기관으로 지정되었고, 2019년에는 10대 국가전략생명연구자원 중에서 소·돼지의 전담기관으로 지정되었습니다. 그리고 2020년도에는 14대 바이오소재 「축산분야 클러스터 중앙은행」으로 지정되어 가축생명자원의 수집, 보존, 관리, 분양과 자원정보의 국내·외 교류를 수행하는 가축유전자원 업무를 담당하는 핵심 기관으로 성장하였고, 식량농업기구(FAO) 식량농업유전자원위원회(CGRFA) 가축다양성정보시스템(DAD-IS)의 국가책임기관으로서 우리나라 고유자원을 등록·관리하고 있습니다.
가축유전자원센터는 경상남도 함양군 서상면 남덕유산에 위치하고 있으며, 319 ha 규모의 토지에 1개의 중앙연구동(생식세포 보존실, 동결자원 보존실, GMO 동결자원 보존실, 자원시료 보관실, 특성평가 해석실, DNA 분석실, RNA 분석실, 공동실험실, 수정란 실험실, 정사 실험실, 난자 실험실, 동물생리 실험실, 수의임상 실험실, 운영지원실)과 축사 19동(소, 돼지, 닭, 염소, 사슴, 오리), 중장비실 3동, 부속건물 41동, 감시사 2동의 시설을 갖추고 우리나라 가축유전자원에 대한 다양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가축유전자원 연구를 위해서 자원보존관리연구실과 자원활용개발연구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자원보존관리연구실은 가축생명자원의 수집·안전보존을 위한 국가관리 체계확립, 특성평가, 유용형질 발굴, 국제 쟁점 대응 및 외래 자원수집 업무를 수행하고 있으며, 자원활용개발연구실은 가축생명자원의 보존 및 복원 기술 확립, 가축의 정자·난자·수정란 등 생식세포의 안전한 보존과 이용기술의 개발 및 염소·사슴 유전자원의 개량 기반 구축과 성장특성 분석 및 사양관리 기술 개발로 생산성 향상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가축유전자원센터는 유사시에 대비하여 국가 주요 종축의 복원체계 구축을 위해 센터와 더불어 5개소의 분산보존 기관을 지정하여 돼지와 닭 생축을 분산·보존하고 있으며, 동결자원의 경우 소와 돼지에 대한 동결정액을 3개 기관에 분산·보존하고 있습니다. 재래품종 및 지역적응품종에 대한 멸실 방지를 위해 생축 및 동결자원을 안전하게 보존하고 유전적 평가를 통한 잠재적 가치를 발굴하는 등 가축유전자원 연구를 수행하는 국가기관입니다.
27,000
여 마리430,000
여 점200,000
여 점880
만여 건서비스 유형 | 세부 서비스 유형 | 서비스 내용 | 신청 절차 | 단가(원) | 담당자 |
---|---|---|---|---|---|
자원 확보 | 국내 자원 | 고유 재래종 및 지역적응 품종의 가축생명자원 현지 방문 및 확보 | 자원별 문의 | 무료 | 김승창 055-960-3523 kisc@korea.kr |
해외 자원 | 국제 공동연구를 통한 해외 가축생명자원 도입 | ||||
자원 기탁 | 실물자원 기탁 | 가축생명연구자원의 국가적 관리 및 공동 활용을 위한 실물자원 기탁 시스템 | 웹사이트 신청 (https://angr.nias.go.kr) | 무료 | |
정보자원 기탁 | 실물 가축생명연구자원에서 생산된 정보 자원의 공동활용을 위한 정보자원 기탁 시스템 | ||||
자원 분양 | 국내 분양 | 국내 연구자들이 연구·교육 목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자원 분양 시스템 | 웹사이트 신청 (https://angr.nias.go.kr) | 무료 | |
국내 분양 | 국외 연구자들이 연구·교육 목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자원 분양 시스템 | ||||
정보 제공 | 자원특성 정보 | 센터가 보유하고 있는 가축생명연구자원에 대한 목록과 자원 특성정보를 이용자에게 제공 | 웹사이트 신청 (https://angr.nias.go.kr) | 무료 | |
우수자원 추천 | 특성평가를 통해 육종소재나 생명 연구자원 소재로 활용 및 우수 자원 등 추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