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모바일메뉴
소개

미생물 클러스터클러스터 바로가기

미생물
농촌진흥청 농업미생물은행(KACC)

농업과 식품분야의 미생물을 수집·분류·특성평가·정보화하여 보존하고 수요자에게 제공합니다.
 

농업미생물은행(KACC)은 1995년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에 설립되었으며 그 임무는 다음과 같습니다.

  1. ① 농업과 식품 미생물의 다양성을 보전하기 위하여 세균, 효모, 곰팡이, 버섯을 수집, 분류, 보존하고 이를 정보화합니다.
  2. ② 보관된 미생물을 연구, 산업, 교육적 활용을 위하여 대학, 산업계, 농촌진흥기관 등에 분양하며, 이외에도 미생물의 동정, 보존, 교육, 정보, 상담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3. ③ 원활한 미생물의 보전과 서비스를 위하여 미생물의 형태적, 분자적, 생화학적 분류와 산업적 활용 연구를 수행합니다.


또한 농업미생물은행은 국가기관으로서 다음과 같은 역할을 수행하도록 법률적으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1. ① 농업생명자원법 제7조에 규정한 농업과 식품 미생물자원 관리 책임기관입니다.
  2. ② 특허법 제58조에 근거한 국내특허 미생물 기탁기관이며 또한 부다페스트조약에 근거한 국제특허 미생물 기탁기관입니다. 아울러 국내특허 미생물 기탁기관이 보존하고 있는 모든 특허 미생물을 중복보존하는 국가특허미생물통합보존소를 운영하고 있습니다.(특허청 협약)
  3. ③ 최근에는 제3차 국가생명연구자원 관리·활용 기본계획에 의하여 생명공학연구원 생물자원센터(KCTC)와 함께 미생물 클러스터의 공동 중앙은행으로 지정되었습니다.
  4. ④ 국제적으로는 세계미생물자원연맹(WFCC), 아시아미생물자원센터연합(ACM)의 가맹회원으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영장류자원지원센터는 전임상 연구에 필수적 공공 실험동물 인프라인 원숭이 자원을 활용하는 신약, 백신 등 다양한 분야에 원숭이 자원 분양, 실험지원, 원숭이 소재분양, 원숭이 약물 독성 동태 평가, 혈액검사/분양, 바이러스 모니터링 대행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서비스 유형 세부 서비스 유형 서비스 내용 신청 절차 단가(원) 담당자
미생물 기탁 일반 기탁 일반기탁된 균주는 공개되며 연구, 교육 또는 산업용으로 분양됨 기탁자 요청에 따라 2년 한에서 비공개 가능 담당자 협의 ▶ 기탁신청서 & 미생물 발송 ▶ 균주보존 ▶ 등록번호고지서 발부 무상 김이슬
063-238-3028
dew@korea.kr
특허 기탁 발명에 이용된 미생물을 국내/국외 특허출원을 위하여 공인된 특허 미생물 보존기관에 기탁 기탁신청서, 미생물 & 수수료 발송 ▶ 보존 및 재생확인 ▶ 동일확인 ▶ 수탁증 발급 800,000원/균주 한병학
063-238-3057
ybyung2000@korea.krM
미생물 분양 일반 분양 미생물을 취급할 수 있는 기관에 소속된 자로서 연구, 교육용으로 1회에 10균주, 1년에 20균주까지 분양 온라인분양회원가입 ▶ 온라인분양신청 ▶ 분양 승인 ▶ 미생물 우송 무상 조영미
063-238-3034
kacc@korea.kr
특별 분양 미생물을 취급할 수 있는 기관에 소속된 자로서 연구, 교육용으로 1년에 20균주를 초과하여 분양 신청하는 경우로 과제수행계획서를 제출하고 분양 승인을 받아야 함 담당자 협의 ▶ 과제수행계획서 제출 ▶ 온라인분양신청 ▶ 미생물 우송 무상 세균 : 허준 063-238-3029
진균 : 이다슬 063-238-3049
산업용 분양 미생물을 산업용으로 활용하고자 분양을 받는 경우로 분양 신청 시에 원기탁자, KACC와 별도 분양계약서 작성 담당자 협의 ▶ 산업용분양계약서 작성(신청자, 원기탁자, 담당자) ▶ 분양 무상/유상 조영미
063-238-3034
kacc@korea.kr
미생물 보존 & 교육 서비스 안전보존 서비스 기업체, 대학, 연구소가 활용 잠재력이 크나 국가자원으로 등록되지 않아 유실 가능성이 있는 미생물들을 KACC의 액체질소보존탱크, 초저온보존고에 중복 보존 담당자 협의 ▶ 안전보존협약서 작성 ▶ 기탁자가 KACC 보존시설에 직접 입고 무상 이다슬
063-238-3049
daseul0213@korea.kr
워크숍 식품과 실내곰팡이 국제워크숍 개최(식품오염 및 발효 곰팡이의 분리, 동정 및 분류 교육) 매년 9월 개최, 홈페이지에서 온라인 신청 유상 홍승범
063-238-3025
funguy@korea.kr
미생물
환경미생물 자원 및 유전자 거점은행

국내 유일의 환경 미생물자원 거점 은행으로서 기초 연구 및 산업화에 필수자원을 제공하는 글로벌 전문 미생물 보존은행을 지향합니다.
 

환경미생물 자원 및 유전자 거점은행은 1970년대부터 환경 오염 제어와 관련된 미생물 자원의 분류, 계통학 연구 및 환경 오염 제어 연구를 수행하며 국내 고유의 환경미생물 및 유전자 자원을 개발, 확보하였습니다. 우리 은행은 국내의 환경미생물자원을 효과적으로 보관, 확보하고 국내 토착 미생물 분류 및 생태계 연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2005년 과학기술정보통신부로부터 전문 미생물 소재은행으로 지정된 이후 효율적인 관리 시스템을 확립하여 운영하고 있습니다.
 

유용 생물자원을 이용한 응용기술 개발과 전문 생물 자원센터 운영의 필요성은 특히 2010년 생물다양성 협약에 따른 나고야의정서 채택 이후 세계적으로 그 중요성이 한층 더 부각되고 있습니다. 현재까지도 생태계가 파괴되고 생물다양성이 줄어들고 있으며, 급격하게 이루어진 산업화 및 도시화로 인하여 자연환경과 생활 환경이 지속적으로 악화되고 있어, 이에 대한 적절한 대응 방안이 필요합니다. 생태계 파괴를 복원하기 위한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생물학적 처리 방법 연구 개발이 필요하며, 이를 지원하기 위한 체계적인 미생물 자원 수집 및 보급을 수행하는 전문 미생물 보존기관의 범국가적인 역할에 대한 인식 또한 고취되고 있습니다.
 

환경미생물자원 및 유전자 거점은행에서는 수질, 토양 및 해양 오염 물질 제거를 위한 유용한 연구재 균주들을 분리, 동정하고 특성을 규명한 후 이를 생물 환경 연구 및 산업화에 활용할 수 있도록 미생물 자원 및 관련 유전자를 보존하고 자원화하고 있습니다. 개발된 미생물 자원은 관련 학계, 연구기관, 산업체에 제공함으로써 유관 학문 및 산업 발전에 기여하고자 합니다. 또한, 국제수준의 자원센터 설립을 위한 인프라를 구축하고, 환경 오염원제거와 생태계 복원을 위한 생물학적 처리 연구의 생명과학, 환경공학 분야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도록 제공하고 있습니다.

서비스 유형 세부 서비스 유형 서비스 내용 신청 절차 단가(원) 담당자
미생물 기탁 개발 자원 보존 및 활용지원 서비스

– 연구자가 개발한 연구자원의 안정적 장기보존 서비스– 연구자의 의도에 따라 연구 성과를 학계 및 산업계에 공유하도록 지원

– 온라인 접수 : kemb.or.kr– 오프라인 접수 : 유선, 이메일

무상 곽태은
031-290-7893
kemrc@skku.edu
미생물자원분양 환경미생물 연구 소재 자원 분양 환경미생물 연구 소재 자원 분양

– 온라인 접수 : kemb.or.kr– 오프라인 접수 : 유선, 이메일

학교 및 국공립 연구기관 : 20,000원/균주
산업체 : 100,000원/균주
미생물자원 활용 지원 워크샵/세미나(정기/비정기) 관련 자원 활용을 위한 네트워크 구축 및 기술이전 유선 및 온라인 신청 무상
교육(비정기) 미생물 자원 보존을 위한 기반 기술 교육 지원 유선 및 온라인 신청
공유 접속 기록

페이지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