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약소재 화합물과 데이터의 수집, 보관, 유통, 품질 관리 및 분석을 위한 첨단 설비와 자동화 장비,
컴퓨터 서버 및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신속하고 정확한 분양 업무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한국화합물은행(KCB)은 국내 화합물 자원 및 관련 정보를 공동으로 활용하는 신약개발 및 바이오연구의 핵심 인프라로 2000년 설립되었으며, 2008년에 국가연구개발사업의 화합물 연구성과 관리·유통 전담기관으로 지정(과기정통부)되었습니다. 합성화합물 클러스터 중앙은행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며, 2022년에는 생명연구자원 기탁등록 보존기관으로 지정되었습니다.
대전시 유성구 한국화학연구원 내에 위치하고 있으며, 화합물 보관을 위한 대형 냉동창고, 분양용 DMSO 용액의 보관과 선별을 위한 화합물 자동선별 장비(AutoStorage), 자동 분주 장비(liquid handler), 품질 관리 및 분석 장비 등 첨단 설비와 데이터 관리 및 분석을 위한 컴퓨터 서버와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화합물 및 데이터의 신속하고 정확한 분양업무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75만 종 이상(2024년)의 신약소재 화합물을 보유하고 있으며, 지난 20여 년 동안 산·학·연 1,300여 과제에 1,120만 점 이상의 화합물을 제공하였고, 880만 건 이상의 화합물 활용 약효 데이터를 확보하고 있습니다.
2020년에 한국화합물은행의 실물 및 정보관리 DB와 해외 공공 DB를 통합한 통합데이터플랫폼을 구축하여 로그인 없이 화합물의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고, NTIS 연계 로그인 후 활용자 기반 화합물 선별 및 관리, 가상탐색 자동화, 기탁 및 분양 지원을 하고 있습니다.
홈페이지
www.ibmrc.re.kr통합데이터플랫폼
korea.chembank.org75
만여 종1,379
과제1,120
만여 점880
만여 건서비스 유형 | 세부 서비스 유형 | 서비스 내용 | 신청 절차 | 단가(원) (VAT 10% 별도) | 담당자 |
---|---|---|---|---|---|
화합물 기탁 | 화합물 기탁 신청접수 및 검증 |
신약소재 화합물을 기탁받아, 약물성 및 품질 등을 검증하고 NTIS에 연구성과 등록 기탁화합물 범위 및 기준–(범위) 유기합성 화합물, 단일성분 천연물 –(기준) 화합물 양 : 고체 > 10mg : 오일 > 20mg (권장) 순도 : 80% 이상 (KCB에서 UPLC-MS로 검증), 1H-NMR 자료 제출 |
통합데이터플랫폼 접속 ▶ NTIS 연계 로그인 ▶ 기탁신청 등록 ▶ 화합물구조 및 필수정보 등록 ▶ 적합성검토 ▶ 화합물 발송(KCB 품질검증 수행) ▶ KCB DB 및 NTIS등록 ▶ 기탁필증 발급 | 042-860-7190 chembank@krict.re.kr |
|
자원 분양 | 화합물 분양 |
(1) 1차 스크리닝(단일 농도) 분양 –선별 화합물 분양 : 활용자 선별 또는 KCB 선별 지원 –사전 제작 화합물 분양 : 대표, 임상, 천연물, Fragment, Kinase, PPI, GPCR 등 (2) 2차(검증용) 스크리닝 분양 –활성물질 확인용(다중 농도) 분양 –활성물질 유도체 분양 |
통합데이터플랫폼 접속 ▶ NTIS 연계 로그인 ▶ 활용신청 및 약효시험 설명서 등록 ▶ 중복성 및 적합성 검토 ▶ 활용계약 ▶ 화합물 분양 ▶ 약효시험결과 수령 ▶ 화합물구조정보와 순도분석결과 및 관련정보 제공 |
화합물은 무상 분양 실비 부과 ·96-well (80종/1plate) : 30,400원 ·384-well (320종/1plate) : 117,100원 중소/벤처/대학교/공공연구 기관은 실비의 50% 부과 |
|
데이터 분양 | –화합물 구조 데이터 –공개 가능한 화합물 활용 약효 데이터 ※ 데이터 정보는 USB로 제공됨 |
활용신청서 접수(대표 이메일)* ▶ 데이터활용계약 ▶ 신청데이터 분양 ▶ 데이터분석결과 수령 *2024년 통합데이터플랫폼 사이트에서 제공 예정 |
무료 | ||
기술 지원 | 화합물 선별 전문 지원 | –구조기반 가상탐색 –리간드 기반 가상탐색 –pathway 정보 기반 선별 –유도체 선별 |
이메일 신청 및 전문가 면담 후 화합물 선별 지원 | 무료 | |
Active 및 Hit 분석 보고서 제공 | Active 및 Hit 화합물에 대한 품질검증 및 관련 정보 제공 서비스 | Active 및 Hit 선별 고지 시 분석 보고서 및 관련 정보 제공 | 무료 | ||
활용자 기반 화합물 검색 및 선별 | 화합물 검색 | 구조정보, 약품명, 구조식 및 특성정보 등을 활용하여 통합 검색할 수 있는 서비스(KCB, ChEMBL, DrugBank, PDB) | 통합데이터플랫폼 접속 ▶ 검색(로그인 없이 이용 가능) ▶ 키워드검색, 구조검색,성질검색, 질병검색, 타깃검색, SDF파일검색 ▶ 화합물 검색결과에서 구조확인 | 무료 | |
마이라이브러리 | 검색 결과를 이용하여 화합물을 선별하고 마이라이브러리에 저장하여 화합물 분양 신청에 활용 | 통합데이터플랫폼 접속 ▶ NTIS 연계 로그인 ▶ 검색 ▶ 검색결과 페이지에서 화합물 선택 ▶ 마이라이브러리 저장 ▶ 화합물 분양 신청에 활용 | |||
가상탐색 프로젝트 | 단백질-리간드의 결합구조기반으로 pharmacophore feature를 추출하여 타깃단백질에 결합이 예상되는 화합물을 선별 | 통합데이터플랫폼 접속 ▶ NTIS 연계 로그인 ▶ 프로젝트 ▶ 가상탐색 ▶ 가상탐색 프로젝트 등록 ▶ PDB code입력 검색 ▶ 주요 리간드선택 ▶ pharmacophore feature 생성 ▶ feature 선택(추천 조합 또는 개별 선택 가능) ▶ 가상탐색 라이브러리 선택 ▶ 가상탐색 수행 ▶ 검색결과에서 화합물 선택 ▶ 마이라이브러리에 저장 ▶ 화합물 분양신청에 활용 |
기능성 화장품, 식품, 천연물 의약품 개발로 우리나라 자생 천연물 자원의 가치 창출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천연물 연구 특화 기관인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강릉분원 천연물연구소는 관련 연구자들과 기업들이 새로운 천연물 소재 개발에 있어 가장 필요로 하고 궁금해하는 것이 무엇일까를 고민해왔으며, 이러한 노력의 하나로 국내 자생 천연물 라이브러리를 구축하였습니다.
KIST 천연물 라이브러리의 특징은 항염증 작용 또는 신경세포 보호 작용이 우수하거나 식품 원료로 사용가능 한 국내 자생식물 추출물을 중점적으로 확보하고, 이들의 시료정보와 함유성분 패턴을 정리한 점입니다. 이러한 특징은 시료의 분양과 기탁을 통해 활용하는 연구자에게 연구 시료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고, 효율적인 연구수행을 지원하는데 이바지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연구기관과 기업이 KIST 강릉분원 천연물연구소의 라이브러리 시료들과 천연물 분석 장비들을 공동 활용하여 자생 환경 또는 재배조건에 따른 식물 성분 변화 연구를 수행하거나 기능성 화장품과 식품 및 천연물 의약품 개발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
500
여 종6,000
여 개서비스 유형 | 세부 서비스 유형 | 서비스 내용 | 신청 절차 | 분양 수수료 (추출물/원시료) |
정보 이용료 (효능정보) |
담당자 |
천연물 분양서비스 | 천연물클러스터 사업 소재 국내식물 전략소재 | 개별시료 : 70% 발효주정 추출물 10mg | 천연물중앙은행 홈페이지 (kobis.re.kr/npcb)에서 분양신청 | 10,000원 | 10,000원/바이오마커 | 권재영 033-650-3516 kjy1207@kist.re.kr |
대량추출 : 70% 발효주정 추출물 1g | 500,000원 | |||||
원시료 : 추출물 1g 상당의 원시료 | 150,000원 | |||||
천연물 중점 시료 | 중점시료 : 건조 추출물 최대 20mg | 홈페이지 온라인 분양신청, 오프라인 분양신청 | 무료 | 함송림 songlim0824@kist.re.kr |
||
HTS시험시료 | 일정 농도로 Dimethyl sulfoxide (DMSO)에 녹인 추출물(1회당 최대 50ul) | |||||
천연물 분리분석 서비스 | 용매 분획서비스 | 식물추출물을 Hexane, Chloroform, Ethyl acetate, Buthyl alco- hol, Distilled water로 단순 용매분획하여 제공하는 서비스 | 담당자에게 이메일로 연락 후 협의 | 협의 | ||
Column을 이용한 분획서비스 | Column을 이용하여 식물추출물의 소분획을 제공하는 서비스 | |||||
Mass 분석서비스 | 식물추출물 또는 분획물의 주요 화합물 질량분석 데이터를 제공하는 서비스 | |||||
함유성분 구조 동정 서비스 | 함유성분의 분리 또는 구조동정 | |||||
소재기탁서비스 | 천연물 추출물 및 원시료기탁 | 기탁된 소재를 공유하여 연구할 수 있도록 하는 기탁서비스 | 홈페이지 온라인 기탁신청, 오프라인 기탁신청 | 무료 |
한약자원 발굴부터 유효성 검증, 산업화 소재 개발까지 한약자원 허브 역할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한국한의학연구원에서는 2006년부터 한약자원 소재 확보 및 활용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현재는 2018년 전남 나주시에 건립된 한약자원연구센터에서 한약자원 과학화·표준화 선도, 한약자원 외연확장 및 가치혁신, 글로벌 한약자원 허브 구축 등을 목표로 한약자원 관련 연구를 전담하고 있습니다.
2013년 세계식물표본관총람(Index Herbariorum)에 등재된 한약표준표본관과 2015년 설립된 한약표준자원은행에 한약자원식물 석엽표본과 약재표본 등 약 3만 점의 표본을 수장하고 있는 국내 최대 규모의 한약자원 전문 표본관이며, 2020년 국립산림품종관리센터 지정 산림생명자원 관리기관, 2021년 국가기술표준원 지정 국가참조표준 한약자원특성 데이터센터 등 국내 한약자원 연구의 중심기관입니다.
한약자원연구센터에는 한약표준표본관·한약표준자원은행 이외에도 감별연구실, 기기분석실, 효능연구실, 세포실험실, 동물실험실, 식물조직배양실험실 등 한약자원 연구에 필요한 다양한 시설·장비가 갖추어져 있으며, 한약자원 소재 분양, 감정, 감별기술 교육, 연구장비 개방 등 관련 산업계·학계에 대한 기술지원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2021년 9월 부터 ‘천연물클러스터 육성사업’의 [식물유래 천연물자원 거점은행]을 맡아, 국내 생약(한약)자원식물 분양용 표준추출물 제조, 이화학적 분석정보 DB 구축 및 천연물 중앙은행 연계 분양체계 구축을 통하여, 천연물중앙은행을 중심으로 하는 천연물클러스터 통합 운영체계 확립 및 국내 자생식물자원 활용가치 제고를 위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홍보동영상
23,500
여 점5,800
여 점서비스 유형 | 세부 서비스 유형 | 서비스 내용 | 신청 절차 | 분양 수수료 (추출물/원시료) |
추가제공 정보 | 담당자 |
---|---|---|---|---|---|---|
천연물 분양서비스 | 천연물클러스터 국내식물 전략소재 | 개별시료 : 70% 발효주정 추출물 10mg | 천연물중앙은행 홈페이지(kobis.re.kr/npcb)에서 분양신청 | 중앙은행홈페이지 | 추출물분석정보 | 류승목 061-338-7113 smryu@kiom.re.kr |
대량추출 : 70% 발효주정 추출물 1g | ||||||
원시료 : 추출물 1g 상당의 원시료 | 추출물 효능정보 | |||||
한약표준자원은행 자체사업 소재 |
–한약재 표본 : 건조약재 최대 5g –한약재 추출물 : 열수 또는 70% 에탄올 추출물 최대 200mg |
한약표준자원은행(oasis.kiom.re.kr/herblib) 회원가입 후 자원은행 - 자원목록에서 견적 신청 ▶ 재고 확인 후 견적 승인 ▶ 분양 신청 ▶ 발송 | 무료 | 양선규 061-338-7114 sgyang81@kiom.re.kr |
||
한약자원 표본교류 및 감정서비스 | 한약자원 표본·소재 등 기탁 | 한약자원 표본, 추출물 등 연구소재를 기탁받아 영구보존 | 담당자에 이메일 문의 후 기탁·기증 조건 협의 ▶ 기탁품 접수 ▶ 기탁번호 부여 및 수탁확인증 발급 | 무료 | 최고야 061-338-7118 serparas@kiom.re.kr |
|
한약자원 표본 대여 | 교육 및 전시 목적으로 한약자원 동·식·광물 표본 및 약재 표본을 일시적으로 대여 | 담당자에 이메일 문의 후 대여 조건 협의 ▶ 대여품 발송 ▶ 대여 후 반납 | ||||
한약자원 소재 감정 | 중소기업의 산업원료 및 공공기관·학교의 연구소재로 쓰이는 한약재 감정(관능감정 및 유전자분석) | 담당자에 이메일 문의 ▶ 검체 접수 ▶ 감정 확인서·의견서 발급 | ||||
기술지원 서비스 | 한약자원 감별기술 교육 | 중소기업·한방의료기관·공공기관·학교 등을 위한 한약재 관능감정, 형태학적 감별, 유전자 분석법 등 맞춤형 교육 | 담당자에 이메일 문의 ▶ 교육 방식 및 일정 협의 ▶ 교육 시행 | 무료 | 최고야 061-338-7118 serparas@kiom.re.kr |
|
연구장비 개방 | 지역 산·학·연 연구역량 지원을 위한 한약자원연구센터 보유 연구장비 개방 | 전남연구장비정보망(jeinet.jnsp.re.kr)에서 이용 신청 후 이용 | 기기별 상이 | 소주영 061-338-7108 jyso@kiom.re.kr |
식물유래 국내식품자원은행 구축을 통해 국내 식품자원의 활용 및 가치증진에 기여하고자 합니다.
한국식품연구원(KFRI)은 식품분야 유일 정부출연 연구기관으로 국내 식품자원의 활용가치를 증진하기 위하여, 기능성 식품자원의 표준추출물 제조하고 화학적 분석과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활용체계를 확립하는 것을 목표로 식품소재은행 구축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식물유래 식품자원 소재는 예로부터 임상경험이 풍부한 식의약 자원으로 활용되어 미래 질환예방·개선용 식의약품 개발에 활용할 핵심자원으로서 기능성 식품자원의 국가적 관리체계 구축이 필요한 분야입니다.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한국식품연구원 식품소재은행에서는 국내 식품소재의 표준추출물 500여종을 확보하여 성분 및 특성에 대한 분석 DB를 구축하고 이를 연구기관 및 식품관련기업에 지원하고 있습니다.
2022년 9월 부터는 ‘천연물클러스터 육성사업’의 [식물유래 식품자원 거점은행]을 맡아서 국내 전략식품자원의 표준추출물 제조, 성분분석 정보 DB구축, 천연물 클러스터 중앙은행 연계 분양체계 구축을 진행하고 있고 이를 통해 기능성 식품자원의 효율적 연구개발 지원 역할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180
점 확보18,000
바이알500
여종서비스 유형 | 세부 서비스 유형 | 서비스 내용 | 신청 절차 | 분양 수수료 (추출물/원시료) |
추가제공 정보 | 담당자 |
식품자원 분양 서비스 | 천연물클러스터 국내식물 전략소재 | 개별시료 : 70% 발효주정 추출물 10mg | 천연물중앙은행 홈페이지 (kobis.re.kr/npcb)에서분양신청 또는 담당자에게 이메일 문의 후 분양신청 | 10,000원 | 10,000원 / 바이오마커 | 최상윤 063-219-9307 sychoi@kfri.re.kr |
대량추출 : 70% 발효주정 추출물 1g | 500,000원 | |||||
원시료 : 추출물 1g 상당의 원시료 건조분말 | 150,000원 | |||||
KFRI 식품소재은행 소재 | 개별시료 : 70% 발효주정 추출물 20mg | KFRI 식품소재은행 홈페이지 (kfmb.kfri.re.kr)에서 분양신청 또는 담당자에게 이메일 문의 후 분양신청 | 무료(대량 협의) | |||
개별시료 : 열수 추출물 20mg | ||||||
식품소재 기탁 서비스 | 식품소재 추출물 | 연구활용 증진을 위하여 기탁된 소재를 보존 및 공유 | 담당자에게 이메일 문의 후 기탁신청 | 협의 | 유귀재 063-219-9463 gjyoo@kfri.re.kr |
|
기술지원 서비스 | 식품소재 특성분석 DB | 소재 성분 분석 및 특성예측시뮬레이션 데이터 제공 | 담당자에게 이메일로 연락 후 세부사항 협의 | 협의 |